경제/금리 환율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결정 주요내용 및 연말 기준금리 전망

LearningMan7 2022. 10. 13. 22:00
반응형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결정('22.10.12)

 

어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기준금리를 0.50%p 인상하기로 결정하였음 (2.50% → 3.00%)

 

기준금리의 인상은 정책금리로 여러 금리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금리

(시중은행의 대출금리, 예금금리, 국채금리, 기업들이 발행하는 회사채 금리 등등)

 

기준금리 인상 종류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경우에 조정하는 폭은 아래와 같이 4가지로 구분됩니다. 물론 보통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결정을 한다고 하면 +/- 0.25%를 조정합니다. 최근에 미국 연준에서 한번에 0.50%를 인상하면서 0.25%를 두번 나눠서 올릴 것을 한번에 올리는 결정을 했다고 해서 빅스텝이라는 용어가 나왔구요. 심지어 0.75%까지 올리는 자이언트스텝도 나오게 되면서 아래와 같이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통상은 베이비스텝으로 +/- 25bp를 조정합니다. 

 

 - 베이비 스텝 : +0.25% (25bp)

 - 빅스텝 : +0.50% (50bp)

 - 자이언트스텝 : +0.75% (75bp)

 - 울트라스텝 : +1.00% (100bp)

 

 

기준금리 인상 이유

금번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유는 아래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요약을 하면 (1)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 (2)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리스크 확대 때문이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세계경제는 경기둔화세를, 국내경제는 성장세 둔화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석유류의 가격 상승으로 5% 후반의 높은 물가세를 지속하고 있고, 이런 추세는 상당기간 지속할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왜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는가?

물가가 오르는 것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내일 물건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면 오늘 물건 가격이 가장 싼 가격일 것이므로 사람들은 미리 물건을 소비하게 되며, 이는 다시 물가 상승을 부추키는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사람들의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를 일컬어서 '기대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아래 통화정책방향에서도 기대인플레이션이 4%대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런 기대심리를 낮은 수준으로 내리기 위해서 금리를 인상하여 시중의 통화량을 줄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환율이 오르는데 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가?

여기서 환율은 원/달러 환율을 의미합니다. 원화의 가치와 달러의 가치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것이 환율입니다. 환율이 오른다는 것은 $1에 1,300원하던 것이 $1에 1,400원으로 올랐다는 것을 말하므로 달러의 가격이 비싸졌다는 것을 말합니다. 달러의 가격이 비싸졌다는 것은 달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는 것을 뜻합니다. 달러의 수요가 늘어나는 이유는 달러로 벌어들이는 금리가 원화로 벌어들이는 금리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즉, 원화로 예금을 하면 일년에 2.5% 이자수익을 볼 수 있으나, 달러로 예금을 하면 일년에 3.0% 이자수익을 볼 수 있다면 당연히 달러로 환전하여 달러예금을 가입하려고 할 것 입니다. 

 

따라서 원화의 금리를 올리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인데요, 이를 위해서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 입니다. 최근 환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는 주요한 원인이 바로 미국의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보다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통상 아무리 금리가 역전되어도 1% 이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는데 지금 미국 연준의 방향성을 보면 향후에도 지속해서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향후 한국은행의 정책방향은?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당분간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니 금리는 상승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한번 더 남아 있습니다(11/24 예정). 한국은행 금통위는 아마도 기준금리를 0.25%~0.50% 수준에서 다시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연말 기준금리는 3.25% ~ 3.50% 수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결정문 (출처 : 한국은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