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스팩(SPAC) 이란?

LearningMan7 2021. 8. 31. 21:52
반응형


SPAC은 기업인수목적회사라고 합니다. 영문으로 SPAC -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입니다.

발행 주식을 공모하여 상장한 SPAC는 Paper Company이지만,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다른 유망한 비상장기업을 인수하여 본인(SPAC)과 합병함으로써 그 비상장회사를 상장회사로 바꾸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즉, 다른 기업인수 및 합병을 목적으로 하여 공모주를 발행, 자금을 모집한 후에 그 자금으로 상장을 준비 중인 회사를 인수합병하고 우회상장시키는 것입니다. 

타겟이 되는 비상장기업 입장에서는 스팩과의 합병을 통하여 공모 자금을 조달하는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좋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상장회사 입장에서는 상장을 위한 거래소의 심사라든지, 금감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승인받아야 하는 복잡하고 지난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도 선호합니다. 

 

그리고 비상장기업은 상장을 위한 공모주 발행시 흥행에 실패하거나, 낮은 공모가가 현실화될 수 있는 불확실성, 공모를 하려고 했는데 갑자기 금융위기가 온다든지, 주식시장이 어이없게 불황이라든지 하는 상황에 흔들려서 상장이 연기되거나 실패할 수 있는 가능성, 불확실성을 없앤다는 측면에서도 장점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도 그런 것들이 Risk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그런 Risk들을 없애거나 줄이면서 우량한 비상장기업에 투자하여 성과를 볼 수도 있다는 장점 때문에 SPAC이라는 제도가 운용이 되고 있는 것입니다.  

스팩(SPAC)은 페이퍼컴퍼니로서 발행하여 조달한 자금을 한국증권금융에 90% 이상 예치해야 하고, 나중에라도 비상장기업과의 합병이 3년내에 이뤄지지 않는다면 해산절차를 거쳐서 처음 투자자에게 소정의 이자를 붙여서 돌려주기 때문에 투자자 입장에서는 SPAC이라는 페이퍼컴퍼니에 투자했다고 해서 자금을 날릴 가능성은 없습니다. 

그래서 스팩에 투자할 때는 어떤 비상장기업의 합병을 추진하고 있는지, 합병을 조속히 할 수 있는지 등 진행상황을 잘 파악하고 투자해야 합니다. 물론 스팩이 처음 만들어질때 어떤 타겟기업과의 이야기가 있는지 등 내용은 알려줄 수 없으므로 공개적으로는 알 수 없습니다. 주로 어떤 인력풀이 그 SPAC을 운용하는지를 보고 투자해야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레이션 트레이드란?  (0) 2021.09.29
헝다 그룹 사태  (0) 2021.09.27
신흥국 부채위기에 대한 경제 석학들의 전망  (0) 2021.09.09
무상증자란?  (0) 2021.09.07
스톡옵션 - Stock Option  (0)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