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준금리 인상에 앞서서 금융당국이 시행한 대출규제로 인하여 농협은행의 주담대 총량 관리로 주담대가 아예 막혔다는 기사가 있었는데요, 오늘 기사에 의하면 이제는 KB국민은행도 주담대의 금리인상이 있다는 소식입니다.
최근 1년간 금리는 슬금슬금 올라서 1년전에 비해 약 1%p가 상승했다고 하는데요.. 최근 금융당국의 은행별 대출 총량 규제로 인하여 대출을 많이 내줄 수 없게 되자, 은행들은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금리수준은 '20년 7월 평균 2.45% 에서 '21년 7월 평균 2.81%로 0.36%p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한국은행)
통상 대출금리는 은행별로 모든 대출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기본금리'에 개인별 신용도에 따라서 붙이는 '가산금리'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가산금리를 구성하는 우대금리(금리 축소분)의 혜택을 줄이고 있습니다.
금리 = 기본금리 + 가산금리( - 우대금리 효과)
9월 3일 국민은행은 신규 코픽스(COFIX)와 연동되는 주담대, 전세자금대출의 우대금리폭을 0.15%p 축소한다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가산금리에서 차감되었던 부분이 덜 차감되면서 최종 금리는 오르게 된 것입니다.
국민은행 금리수준
- 주택담보대출 금리 : (기존) 2.65%~4.15% (변경) 2.80%~4.30% (만기 5년, 아파트담보, 신용 1등급 기준)
- 전세자금대출 금리 : (기존) 2.64%~3.84% (변경) 2.79%~3.99%
우리은행도 우대금리 혜택을 0.30%p 축소
반응형
'경제 > 금리 환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테이퍼링 연기될지? (0) | 2021.09.10 |
---|---|
마이너스통장 금리수준 (0) | 2021.09.09 |
연내 기준금리 인상? (0) | 2021.09.03 |
8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결정 (0) | 2021.08.26 |
미국 및 한국의 금리인상 전망 (0) | 2021.08.20 |